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664)
2022년 청년 내일채움공제 자격 신청방법 2022년 청년 내일 채움 공제 자격 및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2022년을 언급한 이유는 청년 내일 채움 공제 제도가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변경되기 때문이다. 2022년 이후 이 글을 보신다면 가장 최근의 제도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살펴야 한다. 청년 내일채움 공제란?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청년이 2년간 300만 원을 저축하고 정부와 기업이 900만 원을 지원해서 2년 후 총 1,200만 원의 목돈을 만들어주는 제도이다. 원금외 이자도 지급된다. - 청년 300만원 + 정부, 기업 900만 원 = 1,200만 원(그외 이자지급) - 청년 매월 12만 5천 원 저축함(2년간) 청년 내일채움 공제 자격(청년) 1. 5인이상 중소기업에 재직 중 청년 - 5인미만 가능한 경우는 아래에서 별도 설..
카톡 친구 차단방법 오늘은 카톡 친구 차단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원하지 않는 카톡 친구와 대화를 하고 싶지 않을 때 차단하려고 할 것이다. 먼저 차단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카톡친구 숨김이나 삭제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카톡 친구 차단하는 방법 1. 카카오톡 친구 목록 → 차단할 친구 이름을 몇 초간 꾹 누른다. 2. 새로 생기는 메뉴창에서 차단을 클릭한다. 3. 차단하시겠습니까? 라는 대화창이 생긴다. 확인을 클릭한다. 그럼 바로 카톡 친구 차단이된다. 4. 위의 방법대로 카톡 친구 차단하면 바로 친구 목록에서 사라진다. 5. 상대방이 메시지를 보내도 나에게 도착하지 않는다. 6. 상대방은 차단당했는지 모른다. 친구 숨김은? 카톡 친구 차단 방법 외 친구 숨김 기능도 있다. 1. 숨김 기능은 카톡 친구..
카카오톡 나와의 채팅방 나가기 오늘은 카카오톡 나와의 채팅방 나가기와 나와의 채팅방 대화 내용 삭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이게 안되나요? 우리가 카카오톡 채팅방 목록에서 특정 채팅방을 없애고 싶을 때는 아래 사진처럼 채팅방을 꾹 누른 후 생기는 메뉴창에서 나가기를 클릭한다. 하지만 나와의 채팅방에서는 나가기 버튼이 없다. 일반 채팅방의 나가기 버튼을 클릭하면? 기존의 대화 내용도 모두 사라지는데 나와의 채팅방은 이것도 할 수가 없어 불편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나와의 채팅방 숨김으로 대체 카카오톡 나와의 채팅방은 나가기 기능이 없어 완전히 없애는 것이 불가능하다. 대신에 숨김 기능으로 잠시 안 보이게 할 수 있다. 1. 카카오톡 채팅방 목록에서 나와의 채팅방을 꾹 누른다. 2. 그럼 메뉴창이 생기는데 여기서 숨김을 클릭한다. 3...
카톡방 대화내용 한번에 지우기 방법 오늘은 카톡방 대화 내용 한 번에 지우기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글 읽기 전 체크사항 1. 오늘 방법은 내 카톡방에서 대화 내용 한 번에 지우기 방법임 상대방 카톡방과 상관없음 2. 5분이 지나면 상대방 카톡방에서 메시지 지우기가 불가능함 포기해야 함 대화 내용 한 번에 지우기 방법 채팅방에서 나가기 한번 나갔다가 들어오는 방법이다. 채팅방에 다시 초대해줄 사람이 있어야 한다. 1. 카카오톡 채팅방 목록에서 해당 채팅방을 몇 초간 꾹 누른다. 2. 새로 생기는 대화창에서 나가기를 클릭한다. 3. 그럼 채팅방에서 나가시겠습니까?라고 묻는 대화창이 생긴다. 대화 내용이 모두 지워진다는 내용 숙지 후 확인을 클릭한다. 이렇게 하면 카톡방의 모든 대화가 사라진다. 단, 내가 보는 화면에서이다. 상대방의 ..
카톡 메시지 동시에 1:1 로 보내는 방법 카톡 메시지나 파일을 보낼 때 여러 명에게 동시에 1:1로 보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여러 명이 들어와 있는 단톡방이 아니고 동일한 메시지를 1:1채팅방 형식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핸드폰 문자메시지의 단체 문자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카톡 1:1로 보내는 방법 1. 나와의 채팅방이나 특정 채팅방에 전달할 메시지를 입력 후 꾹 누른다. 2. 그럼 대화창이 생기는데 여기서 전달을 클릭한다. 3. 카톡 채팅방 아래쪽에 친구 목록이 가로로 생긴다. 여기서 메시지 1:1 전달할 친구를 선택 후 보내기를 클릭한다. 최대 10명까지 한 번에 선택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하나의 카톡 메시지가 여러 명에게 1:1로 전달된다. 보내려는 사람이 10명을 넘어간다면? 이 작업을 반복하면 한꺼번에 1:1 카톡..
분실 주민등록증 습득조회 하기 오늘은 분실 주민등록증 습득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주민등록증을 잃어버렸을때 대부분 당황하다가 재발급 신청을 한다. 하지만 재발급을 받으면 수수료 5,000원이 발생한다. 때문에 오늘 알아볼 분실 주민등록증 습득 조회 서비스에서 내 주민등록증을 한번 찾아본 후 재발급 신청을 해도 늦지 않다. 습득 조회 하기 1. 포털에서 정부 24를 검색해서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2. 정부24 홈페이지 검색창에서 분실 주민등록증 습득 조회라고 입력하여 검색한다. 3. 그럼 검색 결과에 분실 주민등록증 습득 조회 메뉴가 보인다. 오른쪽 조회 버튼을 클릭한다. 4. 새로 생기는 페이지에서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을 입력 후 본인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5. 인증수단을 간편 인증이나 공동 금융인증서 둘 중 선택..
인감증명서 주민등록증 진위확인 오늘은 인감증명서나 주민등록증 등 진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본인서명 사실확인서도 진위 확인을 할 수 있다. 진위 확인 하기 1. 정부 24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서비스 → 사실/진위 확인을 클릭한다. 2. 그럼 아래쪽에 진위 확인할 수 있는 메뉴들이 많이 보이는데 여기서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이라고 표시된 것을 클릭해보겠다. 3. 주민등록증 진위확인/잠김해제 페이지로 이동했다. 여기서 아래쪽 주민등록증 진위확인 메뉴(사진 표시)를 클릭한다. 4. 그럼 인증이 필요한 서비스 입니다 라는 대화창이 생기는데 여기서 인증서를 선택 후 로그인한다. 5. 주민등록증 진위확인 서비스 페이지로 이동했다. 여기서 성명, 주민등록증, 발급 일자, 입력 확인에 내용을 입력 후 확인을 클릭한다. 6. 그럼 아래 사..
가족돌봄 휴직제도 오늘은 가족 돌봄 휴직제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가족 돌봄 휴직제도란? 자녀, 배우자, 부모, 배우자의 부모가 질병이나 사고 등으로 인해 돌봄이 필요할 때 휴직기간을 가지고 가족을 돌보는 제도를 말한다. 휴직기간은? 그럼 몇일간 가족 돌봄 휴직제도를 사용할 수 있을까? 1년에 최대 90일까지 사용할 수 있다. 나누어서 사용할 수 있는데 한 번에 최소 30일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가족 돌봄 휴직제도는 가족 돌봄 휴가를 사용한 만큼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줄어든다. 가족 돌봄 휴가를 5일 사용했다면? 90일(최대 사용가능일) - 5일(가족 돌봄 휴가) = 85일만 가족 돌봄 휴직 사용 가능함 가족 돌봄 휴가는? 1년에 최대 10일 동안 가족을 돌보기 위해 휴가를 사용할 수 있고 하루만 사용 가능하다는 ..